아이폰/아이폰 뉴스

애플, 아이폰 고객정보 무더기 넘겨..

넷인싸 2018. 3. 2. 08:40

애플, 아이폰 고객정보 무더기 넘겨..

1억3천만명 개인정보 담은 클라우드 계정 중국으로 이전…정부 직권으로 열람 가능
"애플, FBI요구도 거절하더니 돈벌이 위해 中엔 굴복" 비판

애플이 중국에 사는 자사 고객들의 개인정보가 대량으로 담겨 있는 아이클라우드(iCloud) 계정을 지난달 28일 중국 국영 서버로 전격 이전했다. 이에 따라 방대한 중국 고객 개인정보를 중국 당국이 직권으로 손쉽게 검열할 수 있게 돼 사생활 침해에 대한 우려가 일고 있다. 

또 2015년 총격 테러범의 아이폰 암호를 해독하라는 미국 연방수사국(FBI)과 법원 결정에 '개인정보 보호'를 이유로 거부했던 것과 달리 중국에 대해서는 시장을 얻기 위해 고객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굴복'해버린 애플의 이중성에 대한 비판이 제기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들에 따르면 애플은 이날 중국 본토에 등록된 고객의 아이클라우드 계정을 중국 구이저우 지방정부가 관리하는 '구이저우 클라우드 빅데이터' 서버로 옮겼다. 애플이 자사 아이클라우드 계정을 해외로 이전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 내에서 애플을 사용하는 고객은 2015년 기준 1억30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들의 개인정보가 중국 당국에 무작위로 노출될 가능성이 생긴 것이다.

애플은 이것이 지난해 개정된 중국의 새로운 사이버정보보안법에 따른 조치라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6월 범죄·테러 예방 등을 목적으로 중국에 사는 사람 정보를 수용하고 있는 모든 기업의 클라우드 서비스 계정을 중국 내에 두어야 한다는 내용으로 법을 개정했다.

애플의 이번 결정이 논란이 된 이유는 아이클라우드 계정을 풀 수 있는 암호열쇠 코드 역시 중국 본토로 이전되기 때문이라고 WSJ는 보도했다. 지금까지 해당 코드는 미국 내 서버에 보관된 덕에 외국 정부가 안보상 이유로 이 중 일부를 요구하려면 미국법에 따라 소송 절차를 거쳐야 했다. 

그러나 이제 중국 당국이 필요시 자체적인 사법 절차를 거쳐 중국 사용자의 아이클라우드 속 개인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 암호를 열기 위해 판사 영장을 필요로 하는 미국과 달리 중국은 필요시 판사 허가 없이도 경찰이 영장을 내고 이를 실행에 옮길 수 있는 구조다. 

중국 당국의 해킹 작전을 연구해온 로널드 다이버트 토론토대 교수는 "중국 국영기업이 아이클라우드를 관리하게 된 만큼 중국 정부가 애플의 정보에 대한 접근권을 갖게 됐다고 보는 것이 합당하다"고 설명했다. 국제인권단체 앰네스티 인터내셔널 역시 성명을 내고 "이번 조치는 중국의 억압적인 법적 환경으로 인해 고객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애플의 약속이 점차 지켜지기 어려워지고 있다는 가장 최근 징후"라고 밝혔다.

애플 측은 어쩔 수 없는 조치였다고 변명했다. 새 법을 따르지 않으면 서비스를 중단시킨다는 중국 당국의 압력 때문이라는 것이다. 애플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서비스를 중단하면 중국 고객 개인정보 보안과 사용자 경험이 더 악화될 것이란 판단에 법을 따르기로 했다"고 전했다. 

특히 자국 내에서는 사용자 개인정보 보호를 최고 가치로 두고 FBI와 법원 결정에 맞서 싸우기까지 했던 애플이 '전향'했다는 점에서 비판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애플은 2015년 미국 샌버너디노 총격 테러범의 아이폰 암호를 해독하라는 미국 당국 지시에 끝까지 저항했다. 

당시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수년간 우리는 고객 암호가 그들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유일한 수단이라는 점에서 늘 지켜왔다"고까지 말했다.

WSJ는 애플이 미국에 이어 자사 제품의 전 세계 2위 시장(지난해 기준 수익 447억달러)인 방대한 중국 시장을 놓치지 않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애플이 중국 당국 압력에 굴복해 정책을 바꾼 사례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7월 애플은 중국 정부 검열을 피해 가상 사설망을 통해 운영되던 애플리케이션을 중국 내 애플 앱스토어에서 삭제했다. 

최근 국경없는 기자회는 중국 내에서 활동하는 기자들에게 중국에서 아이클라우드 계정을 갖고 있다면 2월 28일 내로 외국 계정으로 옮기거나 폐쇄할 것을 당부했다. 애플은 이에 대해 "우리는 (개인정보가 샐 수 있는) 어떤 '뒷문'도 만들지 않았으며 고객 암호열쇠를 컨트롤하는 것은 애플뿐"이라고 밝혔다. 

[오신혜 기자]
[출처: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