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아이폰 뉴스
아이폰 배터리(밧데리) 소송 쟁점 정리
넷인싸
2018. 2. 15. 12:06
아이폰 배터리(밧데리) 소송 쟁점 정리
15일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발표한 '애플 배터리 스캔들의 법적 쟁점' 보고서에서 이현승 선임연구원은 "애플의 iOS 무료 업데이트는 아이폰 사용자에게는 매력적인 선택요소였으나 이로 인한 소비자 피해 문제에 대해서는 법적으로나 판결에서 아직까지 확립된 것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출처=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손해배상소송에서 승소하려면 iOS 무료 업데이트가 애플과 이용자의 계약관계로 인정되어야 하며, 느려진 아이폰으로 인한 손해를 입증해야 한다.손해배상 청구를 둘러싼 법적 쟁점은 ▲무료 업데이트 과정에서 계약관계 성립 여부 ▲애플의 고의와 과실 ▲iOS 무료 업데이트가 물품에 해당되는지 ▲무료 업데이트 과정에서 필요한 지식 ·정보 제공 권리가 애플에 의해 침해당했는지 ▲iOS 업데이트 부작용을 애플이 알고도 숨겼는지 ▲숨긴 것이 소비자기본법상 정보 제공 의무를 위반한 것인지 ▲iOS 무료 업데이트 이후 성능 저하가 물품 등의 하자에 해당하는지 등이 있다.
이 연구원은 "iOS 무료 업데이트에 대한 애플-소비자 간 계약관계가 인정되면 애플의 약관에 기재된 면책조항이 유효한 지, 소비자가 정보 제공 권리를 침해받았는지가 쟁점이 될 것"이라며 "느려진 아이폰으로 인해 소비자가 입은 실제적인 손해가 있는지, 애플의 배터리 교체비용 인하가 손해배상으로 충분한지 여부도 쟁점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국내에서는 집단소송제가 증권 분야에만 허용돼 애플을 대상으로 한 소송이 공동소송 형태의 손해배상소송으로 진행중이다. 집단소송제는 피해자 일부가 소송해도 판결로 다른 피해자들이 구제받을 수 있는 제도를 말한다. 국내에서는 지난 1월 소비자주권회의와 법무법인 휘명이 애플과 애플코리아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고, 법무법인 한누리가 40만명을 대리해 소송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